데살로니가전서 5장 16-18절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데살로니가전서의 결론과 같은 말씀은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믿음을 지키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도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를 향해서 믿음의 역사와 소망의 인내와 사랑의 수고를 통해서 마지막 때를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씀했습니다.
종말이 온다고 할지라도 하루 동안 믿음 소망 사랑을 이루고 살기 위해서는 내면 적으로는 기쁨이 살아 있어야 합니다. 내면의 기쁨을 빼앗기면 결코 우리가 믿음과 소망과 사랑을 가지고 살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 내면의 기쁨이 주님 안에서 늘 호흡하고 늘 주님과 함께 하는 기도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내면의 기쁨과 하나님을 향한 기도가 다른 사람들을 향해서는 감사로 나타납니다.
이것이 믿음의 역사와 소망의 인내와 사랑의 수고를 이루고 살아가는 종말론적 삶을 살아가는 모든 기독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마음 또는 태도입니다.
우리는 쉽게 내면의 기쁨을 빼앗깁니다. 우리는 너무나 쉽게 자기 스스로 결정하면서 하나님 없는 그런 삶을 살아갑니다. 우리는 어떤 사건을 만날 때 마다 왜 나는 이런 사건을 만날까? 원망하고 불평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오늘 사도바울은 종말론적 신앙, 마지막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이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도 주님 안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이 기쁨을 빼앗기지 않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내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감정으로 마음을 회복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이 세상을 만드시면서 ‘보시기에 가장 좋았더라.’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사랑이 너무나 큰 사랑이었음을 알고 하나님의 마음을 가지고 예수그리스도의 심장을 가지고 내가 살아야지만 기쁨이 회복되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주님 안에서 기도하는 것은 우리가 숨 쉬는 것 같이 늘 주님과 동행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임마누엘하시는 하나님이 언제나 어떤 상황에든지 함께하시고 또 내 생명이 숨 쉬는 모든 조건은 하나님으로부터 왔다는 그 고백하며 우리가 늘 기도하는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야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내 안에 계시기 때문에 기뻐하는 것이고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기 때문에 하나님은 우리에게 좋은 것 아니면 안 주시는 분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건이 오고 또 어떤 사람이 온다 할지라도 그 안에서 주님이 주시는 ‘그리아니하실지라도’ ‘그럼에도불구하고’ ‘그러나’ 라고 하는 감사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을 늘 우리의 심령 가운데 고백하고 살아가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이 말씀을 늘 새김질하면서 오늘 하루도 주님 안에서 믿음으로 승리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기도>
오늘 우리들의 삶 가운데서
우리의 마음을 하나님 앞에 드리게 하여 주셔서
평안과 온유와 겸손을 빼앗기지 않도록
역사하여 주시옵소서.
조건적인 삶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인 하나님이 주신 참된 사랑이 있음을
늘 기억하고 살게 하여 주시고
무엇을 하든지 어떤 것을 하든지 어디를 향해서 가든지
나와 동행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를 붙잡고 가시는 것을 기억하게 하여 주셔서
어떤 사건, 어떤 사람, 어떤 상황이 있다 할지라도
무너지지 않는 참된 감사가 있을 수 있도록
역사하여 주시옵소서.
오늘도 승리하는 삶이 되게 하여 주시고
오늘도 견디는 삶이 되게 하여 주시고
오늘도 이기는 삶이 되게 하여 주셔서
놀라운 상급을 이루는 하루가 될 수 있도록
역사하여 주시옵소서.
오늘도 승리하기를 간구합니다.
주님 안에서 우리의 삶이
주님 앞에 헛된 삶이 되지 않게 하여 주시고
참된 상급의 삶이 될 수 있도록
그래서 우리가 주님 안에서
‘다 이루었도다.’ 라고 하는
그런 삶이 될 수 있도록
역사하여 주시옵소서.
함께하여 주실 줄 믿사오며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렸습니다.
아멘.
2014. 7. 8